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구조화된 데이터
- 제품스니펫
- 지라이슈
- 인덱싱삭제
- SEO
- rich snippet
- 데이터 시각화
- 스키마마크업
- 검색결과노출
- 파이썬구글시트연동
- 탐색경로
- 지라이슈검색
- 구조화된데이터
- Looker Studio
- 사이트이름
- 색인삭제
- 데이터시각화
- 대시보드
- website schema
- 서치콘솔
- 검색노출결과
- 루커스튜디오
- 사이트이름노출
- 전월대비증감률
- 데이터적재
- 검색엔진최적화
- 구글스프레드시트연동
- 루커스튜디오 데이터 혼합
- 파이썬연결
- google search console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검색결과노출 (1)
mangoisme

구글은 구조화된 데이터(structed data)를 사용하여 검색 결과에 페이지의 콘텐츠를 더욱 다양하고 풍부한 방식으로 노출시키고 이를 리치 결과(리치 스니펫)라고 합니다.스키마 마크업(Schema markup)은 페이지 콘텐츠에 추가적인 컨텍스트와 의미를 제공하는 특정 유형의 구조화된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구조화된 데이터는 왜 중요할까요?검색엔진이 해당 콘텐츠를 더 잘 이해하여 관련성이 높은 키워드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습니다.콘텐츠의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가시성을 높여 더 많은 클릭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페이지에 적절한 구조화된 데이터를 적용해주는 것은 검색엔진 최적화에 많은 도움이 되는데요,이러한 구조화된 데이터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1. Breadc..
SEO
2024. 7. 11. 1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