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EO 성과
- 서치콘솔
- google search console
- rich snippet
- 데이터시각화
- 지라이슈
- 데이터혼합
- 루커스튜디오 스코어카드
- 검색결과노출
- pyrhon
- 제품스니펫
- 파이썬연결
- 파이썬구글시트연동
- 루커스튜디오
- 파이썬API
- 탐색경로
- 데이터 시각화
- 리치스니펫
- 구조화된데이터
- SEO
- 루커스튜디오 컨트롤
- 스키마마크업
- 구글스프레드시트연동
- 데이터적재
- 루커스튜디오 데이터 혼합
- Looker Studio
- JQL
- 대시보드
- 전월대비증감률
- 지라이슈검색
- Today
- Total
mangoisme
SEO 가이드: 구조화된 데이터(리치 스니펫) 종류 알아보기 본문
구글은 구조화된 데이터(structed data)를 사용하여 검색 결과에 페이지의 콘텐츠를 더욱 다양하고 풍부한 방식으로 노출시키고 이를 리치 결과(리치 스니펫)라고 합니다.
스키마 마크업(Schema markup)은 페이지 콘텐츠에 추가적인 컨텍스트와 의미를 제공하는 특정 유형의 구조화된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구조화된 데이터는 왜 중요할까요?
- 검색엔진이 해당 콘텐츠를 더 잘 이해하여 관련성이 높은 키워드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습니다.
- 콘텐츠의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가시성을 높여 더 많은 클릭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페이지에 적절한 구조화된 데이터를 적용해주는 것은 검색엔진 최적화에 많은 도움이 되는데요,
이러한 구조화된 데이터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1. Breadcrumb (탐색경로)
Breadcrumb (탐색경로)는 사용자에게 웹사이트의 탐색 경로를 제공하여 사이트 구조 내에서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 기호로 구분되고 가로로 배열되어 사이트의 계층 구조를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검색 엔진이 사이트의 구조를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됩니다.
2. Organization (조직)
Organization(조직) 데이터를 통해 조직의 로고, 주소, 연락처 정보, 비즈니스 식별자 등 세부 정보를 구글에 알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 구글은 지식 패널 및 속성 등에 해당 마크업을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는 구글 검색 결과에서 조직의 정보를 더욱 상세하고 쉽게 찾을 수 있게 됩니다.
3. Product (제품)
Product(제품) 스니펫은 제품에 대한 평점, 리뷰 정보, 가격, 재고 등의 추가 정보를 더욱 풍부하게 제공하여 방문자가 더 쉽게 해당 제품을 찾고 방문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4. Review (리뷰)
Review(리뷰) 스니펫은 검색 결과 하단에 별점 등급을 표시하여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가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 알 수 있게 해줍니다.
5. Recipe (레시피)
Recipe(레시피) 스니펫은 리뷰 작성자 평점, 조리 및 준비 시간, 영양 정보와 같은 정보를 더욱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흥미로운 방식으로 표시해줍니다.
이 외에도 구글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구조화된 데이터를 지원하여 콘텐츠를 더욱 다채롭게 노출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니 참고하여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s://developers.google.com/search/docs/appearance/structured-data/search-gallery?hl=ko
'SEO'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색엔진최적화(SEO)란 무엇인가? 기본 정의와 필요성에 대하여 (0) | 2024.04.2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