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 Website Schema 활용하여 검색 노출되는 사이트 이름 수정하기
종종 구글 검색 결과(SERP)에 내 사이트 이름이 잘못 노출되는 경우를 겪게 됩니다. 올바른 사이트 이름을 노출 시키는 것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클릭률(CTR)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중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Google SERP에 사이트명이 잘못 나오는 경우, 이를 바로잡기 위해 Website Schema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구글 사이트 이름
구글 검색 결과에 페이지가 표시될 때 그 페이지의 출처에 해당되는 사이트의 이름이 표시되며, 이를 사이트 이름이라고 합니다.
사이트 이름은 각 웹페이지에만 적용되는 제목 링크와는 달리 전체 사이트에 적용되는 이름입니다.
구글 검색에서 사이트 이름이 생성되는 방식
Google은 SERP에 표시할 사이트 이름을 자동으로 생성할 때 다양한 요소를 참고합니다. 정확한 이름이 표시되기 위해서는 아래 요소들이 일관되게 적용되어 있어야 합니다.
✅ 구글이 참고하는 대표적인 정보들:
구조화된 데이터 (WebSite 스키마) | 사이트 이름의 신호로 가장 기본적이며 권장되는 방식 |
HTML <title> 태그 | 특히 홈페이지나 주요 페이지의 제목에 명확한 사이트명이 들어가야 함 |
사이트 로고 및 내비게이션 텍스트 | 페이지 상단 로고 또는 메뉴에 노출되는 텍스트도 중요한 신호로 작용 |
Search Console 설정 (일부 국가) | 브랜드명 피드백 기능이 제공되는 경우, 이를 통해 수동 제출도 가능 |
사용자 피드백 및 클릭 데이터 | 사용자가 어떤 이름을 자주 클릭하는지도 구글이 판단하는 참고 요소 중 하나 |
Google은 이 신호들을 조합해 사용자에게 가장 직관적이고 명확한 이름을 보여주려고 합니다. 그 과정에서 때때로 예상과는 다른 이름이 노출되기도 합니다.
Website Schema 적용하기
예를 들어, 내 사이트 이름이 "홍길동 블로그"인데, 구글 검색 결과에 다른 이름 혹은 도메인 주소가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사용자 신뢰도와 브랜드 인지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Website 스키마를 적용하여 구글에게 사이트명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코드 (JSON-LD)
<script type="application/ld+json">
{
"@context": "https://schema.org",
"@type": "WebSite",
"name": "홍길동 블로그",
"url": "https://www.example.com",
"potentialAction": {
"@type": "SearchAction",
"target": "https://www.example.com/search?q={search_term_string}",
"query-input": "required name=search_term_string"
}
}
</script>
✅ 필수 속성
- @type: WebSite로 지정하여 사이트 정보를 명시
- name: 사이트명. 구글이 SERP에 노출할 이름으로 참고
- url: 사이트의 대표 URL.
- potentialAction: (선택사항) 사이트 내 검색 기능이 있다면 포함하여 검색 인터페이스 개선 가능.
스키마 적용 후 확인 방법
- 구조화된 데이터 테스트 도구(https://developers.google.com/search/docs/appearance/structured-data?hl=ko)로 정상 적용 여부 확인
- Google Search Console에서 크롤링 및 인덱싱 상태 확인
- 몇 주 후 검색 결과에서 반영 여부 모니터링
참고(https://developers.google.com/search/docs/appearance/site-names?hl=ko)